Hayt의 회로이론

이론/회로이론

[회로이론] 전자회로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방법

오늘은 회로이론을 볼 때 가장 필요한 직렬과 병렬에 대해서 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다른 분들에게 회로이론을 알려드릴 때 회로의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부분에서 실수를 하여 엉뚱한 답이 많이 나온 것을 많이 봤습니다. 당연한 현상입니다. 회로에 익숙하지 않으면 충분히 있을 수 있어서 초반에 개념을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응용할 수 있습니다. 1. 직렬 아래 회로를 보면 저항들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회로이론에서 다루는 저항은 부품의 다리가 2개가 있다. 부품의 다리 양쪽을 각각 1번, 2번이라고 치면(이건 임의로 정하는 겁니다.) 지금의 회로는 R1의 2번과 R2의 1번이 연결되어있다. 각각의 다리를 보면 (R1의 2번 - R2의 1번), (R2의 2번 - R3의 1번) 으로 연결된다. R1과 R..

이론/회로이론

[회로이론] 마디해석법(Nodal analysis) 예제 4.1

안녕하세요 김텤입니다. 오늘은 회로이론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이번엔 Nodal analysis, 즉 마디해석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가 참고할 자료는 Hayt의 회로이론 9판 (출판사 McGrawHill) 입니다. 마디해석법은 기본적으로 KCL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기본으로 하는데요. 아직 KCL, KVL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이 부분을 더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번에 해석할 회로 입니다. Chapter4의 예제 4.1인데요. 문제는 '15옴 저항을 통해 왼쪽에서 오른쪽을 흐르는 전류를 구하라' 입니다. 우선 회로를 해석하기 전에 Referece 즉 GND로 잡을 위치를 잡고 Node를 찾아야 합니다. 이 회로는 이렇게 정할 수 있겠는데요. 사실 Referece 지점은 어디를 ..

김텤(K-Tech)
'Hayt의 회로이론'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