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렬과 병렬의 개념이 부족하다면 아래 링크 참고!!
[회로이론] 전자회로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방법
오늘은 회로이론을 볼 때 가장 필요한 직렬과 병렬에 대해서 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다른 분들에게 회로이론을 알려드릴 때 회로의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부분에서 실수를 하여 엉뚱한 답이
tech-factory.tistory.com
KCL
이번엔 KCL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지난 KVL에 대해 정리할 때 얘기한대로 회로 해석을 할 때 이것 하나는 꼭 기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렬은 전류 공통
병렬은 전압 공통
2023.03.16 - [이론/회로이론] - [회로이론] KVL,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회로이론] KVL,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회로이론을 공부하면 초반에 KVL과 KCL을 만나게 된다. 처음엔 뭔가 이해가 될 듯 ~ 말 듯~ 할 것이다. 전압과 전류의 병렬, 직렬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면 금방 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스포하자면
tech-factory.tistory.com
그래서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냐
아래 회로를 예로 들겠습니다.

우선 전압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회로에서 R2와 R3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때 병렬은 전압 공통이라고 하였으므로 R2와 R3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R1은 R2//R3 저항과 직렬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이때는 R1에 걸리는 전압은 R2//R3와 다르게 됩니다.
실제로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R2와 R3의 병렬저항값을 구합니다.

그럼 이제 Ra와 R1은 직렬로 연결된 회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다들 아시다시피 쉽게 각각의 저항에 연결되는 전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각각의 전압을 봅시다.
전체 전압이 5V이고 R1에 걸리는 전압이 3.3333V 이므로 5V - 3.3333V = 1.6667V 즉 Ra에 걸리는 전압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지난번 알아본 KVL 입니다.
그럼 이젠 전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류는 아래와 같이 흐르게 될 것입니다.

이쯤에서 KCL의 정의를 한번 보겠습니다.
KCL : 노드에 들어오는(또는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인 합은 0이다.
위 회로에 그린 것으로 보았을 때 R2와 R3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에 파란색 전류가 들어옵니다.
그리고 노드를 통해 두 저항으로 주황색 전류가 나가게 됩니다.
들어오는 전류를 (+), 나가는 전류를(-)로 보았을 때 대수적인 합은 0이 되게 됩니다.
이 때 제가 말하던 직렬은 전류 공통 을 생각했을 때
R1에 흐르는 전류 = RA( R2||R3 병렬 저항 )에 흐르는 전류
이렇게 됩니다.
그렇다면 전류를 한번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전체 저항을 구합니다.

그리고 V = IR 공식을 통해 전체 전류를 구합니다.

이 전류 3.333mA는 R1과 Ra에 흐르는 전류와 같습니다. 왜? 직렬은 전류 공통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회로에서 R1과 Ra 사이에 있는 파란 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인 합은 0이므로 R1과 Ra에 흐르는 전류는 같게 됩니다.
그러므로 다시 말하지만 직렬은 전류 공통이다! 를 명심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R2와 R3에 흐르는 전류는 어떻게 될까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구했습니다.
이때 결과 값을 보면 R1에 흐르는 전류(3.3333mA ) = R2에 흐르는 전류(1.6665mA)+ R3에 흐르는 전류(1.6665mA)
즉 KCL이 성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식을 보면 전류를 구할 때 분자의 저항이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R2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는데 분자에는 R3이 있습니다.
이는 틀린 것이 아닙니다.
병렬회로에서 전류를 구할 땐 반대편에 있는 저항 값을 분자에 넣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저항이 3개 이상 병렬일 때를 보시면 더욱 쉽게 이해될 듯 하여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론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이론] OPAMP 응용회로 해석 (0) | 2023.04.26 |
---|---|
[회로이론] OPAMP(연산증폭기) 해석 (0) | 2023.04.26 |
[회로이론] KVL,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쉽게 이해하기 (2) | 2023.03.16 |
[회로이론] 복잡한 회로 저항구하기 (0) | 2023.03.16 |
[회로이론] 전자회로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방법 (0) | 2023.03.16 |
직렬과 병렬의 개념이 부족하다면 아래 링크 참고!!
[회로이론] 전자회로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방법
오늘은 회로이론을 볼 때 가장 필요한 직렬과 병렬에 대해서 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다른 분들에게 회로이론을 알려드릴 때 회로의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부분에서 실수를 하여 엉뚱한 답이
tech-factory.tistory.com
KCL
이번엔 KCL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지난 KVL에 대해 정리할 때 얘기한대로 회로 해석을 할 때 이것 하나는 꼭 기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렬은 전류 공통
병렬은 전압 공통
2023.03.16 - [이론/회로이론] - [회로이론] KVL,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회로이론] KVL,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회로이론을 공부하면 초반에 KVL과 KCL을 만나게 된다. 처음엔 뭔가 이해가 될 듯 ~ 말 듯~ 할 것이다. 전압과 전류의 병렬, 직렬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면 금방 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스포하자면
tech-factory.tistory.com
그래서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냐
아래 회로를 예로 들겠습니다.

우선 전압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회로에서 R2와 R3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때 병렬은 전압 공통이라고 하였으므로 R2와 R3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R1은 R2//R3 저항과 직렬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이때는 R1에 걸리는 전압은 R2//R3와 다르게 됩니다.
실제로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R2와 R3의 병렬저항값을 구합니다.

그럼 이제 Ra와 R1은 직렬로 연결된 회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다들 아시다시피 쉽게 각각의 저항에 연결되는 전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각각의 전압을 봅시다.
전체 전압이 5V이고 R1에 걸리는 전압이 3.3333V 이므로 5V - 3.3333V = 1.6667V 즉 Ra에 걸리는 전압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지난번 알아본 KVL 입니다.
그럼 이젠 전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류는 아래와 같이 흐르게 될 것입니다.

이쯤에서 KCL의 정의를 한번 보겠습니다.
KCL : 노드에 들어오는(또는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인 합은 0이다.
위 회로에 그린 것으로 보았을 때 R2와 R3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에 파란색 전류가 들어옵니다.
그리고 노드를 통해 두 저항으로 주황색 전류가 나가게 됩니다.
들어오는 전류를 (+), 나가는 전류를(-)로 보았을 때 대수적인 합은 0이 되게 됩니다.
이 때 제가 말하던 직렬은 전류 공통 을 생각했을 때
R1에 흐르는 전류 = RA( R2||R3 병렬 저항 )에 흐르는 전류
이렇게 됩니다.
그렇다면 전류를 한번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전체 저항을 구합니다.

그리고 V = IR 공식을 통해 전체 전류를 구합니다.

이 전류 3.333mA는 R1과 Ra에 흐르는 전류와 같습니다. 왜? 직렬은 전류 공통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회로에서 R1과 Ra 사이에 있는 파란 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인 합은 0이므로 R1과 Ra에 흐르는 전류는 같게 됩니다.
그러므로 다시 말하지만 직렬은 전류 공통이다! 를 명심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R2와 R3에 흐르는 전류는 어떻게 될까요?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구했습니다.
이때 결과 값을 보면 R1에 흐르는 전류(3.3333mA ) = R2에 흐르는 전류(1.6665mA)+ R3에 흐르는 전류(1.6665mA)
즉 KCL이 성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식을 보면 전류를 구할 때 분자의 저항이 이상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R2에 흐르는 전류를 구하는데 분자에는 R3이 있습니다.
이는 틀린 것이 아닙니다.
병렬회로에서 전류를 구할 땐 반대편에 있는 저항 값을 분자에 넣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저항이 3개 이상 병렬일 때를 보시면 더욱 쉽게 이해될 듯 하여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론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이론] OPAMP 응용회로 해석 (0) | 2023.04.26 |
---|---|
[회로이론] OPAMP(연산증폭기) 해석 (0) | 2023.04.26 |
[회로이론] KVL,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쉽게 이해하기 (2) | 2023.03.16 |
[회로이론] 복잡한 회로 저항구하기 (0) | 2023.03.16 |
[회로이론] 전자회로 직렬과 병렬 구분하는 방법 (0) | 2023.03.16 |